1961년 예루살렘에서는 아이히만이란 사람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그는 수백만 명의 유태인을 학살한 나치의 전범 중 한 명이었다. 태연히 수백만의 사람을 죽였던 경력을 생각한다면 그가 정신이상자나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코패스 같은 괴물의 모습을 상상하기 쉽지만, 재판을 받기 위해 사람들에 공개된 그는 지극히 평범하고 정상적인 한 인간에 불과했다. 수 명의 정신과 의사들이 그의 심리 상태를 판정했지만 그의 정신적 상태는 ‘정상’을 넘어 ‘바람직한’ 성품을 보이기까지 했다. 더욱이 그는 유대인에 대한 광적인 증오를 갖고 있었거나 반유대주의 사상에 세뇌를 받은 상태도 아니었다. 1
재판의 참관인으로 참석하여 눈 앞에서 아이히만을 접했던 한나 아렌트는 적잖은 충격을 받고, 지극히 평범한 인간이 동시에 무자비한 수백만(600만 명이라고 추산)의 학살자가 될 수 있었는지 분석하기 시작했다. 사실 이 분석은 아이히만만에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근대 이성의 완성이 눈 앞에 있다고 여겨졌던 20세기 서구 사회에서 독일의 나치즘과 이탈리아의 파시즘이 어떻게 가능했는 지, 즉 ‘악의 평범성’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이자 고민이었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의 ‘말’에 주목했다. 그녀는 아이히만의 언어가 매우 공허하고, 현실 인식에 심각한 괴리를 보이고 있으며,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데 무능력하다고 분석했다. 아이히만이 나치의 언어 규칙을 철저하게 답습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일례로 유태인들의 강제 이주를 ‘재정착’, ‘동부지역 노동’ 등으로 불렀고, 학살은 ‘안락사 제공’, ‘최종해결책’ 등으로 명명했다. 나치 수뇌부는 의도적으로 스스로가 만든 인공적인 표현을 전국가적으로 통용시켰다. 2
본래 정상적인 인간들에게 이유 없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전쟁도 명분이 없으면 할 수 없다. 전쟁이라는 공식적인 살인도 이를 정당화해주는 명분이나 구호가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일방적인 학살은 더욱 그렇다. 2차 대전 말에 맨하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과학자들이 죄책감을 호소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나치의 언어 규칙은 무자비한 ‘범죄’를 불가피한 ‘의무’로 만들어주었다. 유태인 학살은 체계적인 업무 중 한 부분에 불과한 것이 되었다.
얼마 전 영화 ‘변호인’을 봤다. 보통의 한 대학생을 일순간 북의 지령을 받고 활동하는 간첩으로 만들어버리는 공권력의 무시무시함을 느낄 수 있었다. 당시 공안당국이나 사법부가 사용하던 언어들도 마찬가지였다. 공안당국이 통용하던 언어 규칙들, ‘국가 전복 세력’, ‘반국가단체’, ‘빨갱이’, ‘간첩’, ‘적화통일’. 유죄를 선고 받았던 당사자들은 실제 반국가단체를 조직하지도 않았고 국가 전복을 꿈꾸지도 않았다. 그들은 빨갱이도 아니었다. 모두 현실적인 판단 기준과는 거리가 먼 언어들이었다. 영화 속 변호인이 법정에서 울분을 토하는 이유도 현실과 언어 사이의 간극 때문이었다.
이는 지금도 달라진 게 없다. 기득권층은 사회의 건전한 비판 세력마저 ‘종북좌파’로 명명한다. 종북세력과 진보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이들을 동일시 해버리는 사회의 언어 규칙 속에서 정당한 비판과 문제 제기마저 북의 지령을 받고 온 종북세력의 분열 조장으로 치부된다. 때문에 영화 속에서 변호인에게 계란을 투척하던 할아버지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멀쩡한 젊은이들을 상대로 종북 척결을 외치는 집회를 하고 계신다. 이들의 언어는 여전히 공허하다.
사실 언어는 현실을 완벽하게 담아내지 못한다. 우리나라 말로는 에스키모인들의 십수 개가 넘는 눈에 대한 언어를 다 표현하지 못하는 것처럼 언어를 통한 현실의 인식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 현실 사이는 늘 벌어져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 간극을 인지하고 ‘사유’하는 것이다. 아렌트는 언어와 현실 사이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만이 악을 평범하지 않게 만드는 방법이라 강조했다. 이를 ‘두려운 교훈’이라 했다. 아이히만은 실제로 자신이 수행하는 임무가 안락사 제공인지 아니면 학살인지 의심하지 않았다. 때문에 수백만의 유태인을 학살했고, 종국에는 그마저도 전범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 받았다. 3
아이히만이 학살자가 된 것도 80년대 무고한 대학생을 범죄자로 만든 것도 모두 ‘사유’가 결여된 까닭이었다. 사진이라는 것도 대상의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표상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같은 대상이라 하더라도 렌즈나 필터, 필름에 따라 천차만별의 사진이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언어를 매개로 보는 세상이 왜곡된 것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의심하는 것이야말로 현실과 그 대상에 조금이라도 더 접근할 수 있는 핵심이 되며, 이런 의식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타자와의 대화 속 언어는 전과는 전혀 다른, 현실의 힘을 담은 새로운 언어가 될 수 있을 테다. 4
(영화 '변호인'을 보고)
-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김선욱 역, 한길사, 2006년, p79 [본문으로]예루살렘의>
-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김선욱 역, 한길사, 2006년, p177 [본문으로]예루살렘의>
- 영화 '변호인'에서 주인공이 부림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이 간극을 알아차리고부터다. 북한과는 전혀 상관없는 국밥집 학생이 빨갱이 간첩으로 누명을 썼다는 사실을 알았을때 공안당국이나 주장이나 사법부의 견해가 얼마나 허황된 것이었는 지를 몸소 깨달았던 것이다. 이계기는 주인공을 속물 조세 변호사에서 인권 변호사로 변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본문으로]
-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김선욱 역, 한길사, 2006년, p391 [본문으로]예루살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