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는 감정의 일종이다. 무언가를 싫어하는 게 아니라 눈살을 찌푸릴 정도로 강하게 싫어하는 감정이다. 영어로 하면 disgust다. 말 그대로 구역질이 난다는 의미이다. 단순히 미워하거나 기피하는 수준이 아니라 역겨워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혐오는 증오와 가깝기도 하다.
차별은 행위이다. 상대를 구분해서 차등하게 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혐오가 내적인 감정 상태라면, 차별은 행위의 물리적인 결과물이다. 차별은 외부로 표시된다.
감정은 개인의 영역이다. 어떤 감정을 갖든 그건 개인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감정은 그것을 표현하지 않는 이상 (표현하더라도 이를테면 조롱이나 폭력에 이르지 않는 정도라면)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행위는 외부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행위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과 사회의 영역이다.
혐오는 사실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본능의 신호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혐오감을 느끼는 덕분에 불결한 것을 멀리하고 위험한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어떤 대상에 혐오감을 갖느냐는 개별적인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도 있지만, 어쨌든 혐오 자체는 정상적인 감정 상태인 것이다.
하지만 차별은 불합리성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점에서는 미성년자의 출입을 제한한다. 미성년자에게는 억울한 대우일 수 있지만, 이것을 차별이라 하진 않는다. 합리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별은 합리적인 이유 없이 불공정하게 대우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색을 기준으로 가게 출입을 제한하는 것처럼.
혐오와 차별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차별은 없애야 맞지만, 혐오는 없앨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혐오는 자연스러운 감정의 일종이고, 어떤 대상에 혐오감을 갖느냐는 순전히 개인의 선택에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혐오는 그 자체로 문제가 될 수 없다. 수많은 이들이 그만큼 많은 혐오감을 지닌 채 살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혐오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에게는 크게 두 가지 문제의 경향이 있다.
첫째로 혐오 자체를 없애려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남역 살인사건 같은 일이 발생했을 때 거리로 나와 여성혐오를 멈춰달라고 집회를 하는 것이다. 혐오라는 건 그게 범죄로 표출될 때 문제가 될 뿐 혐오 자체가 문제가 될 수는 없다. 또 혐오는 법과 제도를 만든다고 없어지는 성질의 것도 아니다. 혐오는 인식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위 혐오범죄를 규탄한다고 집회를 하는 건 응징을 바라는 분노 표출에 불과한 짓이다.
둘째로 혐오 대상을 없애려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개고기가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개고기 문화를 없애려 하는 것이다. 이는 특정 대상에 갖고 있는 혐오감을 없애는 게 아니라 그 대상을 없애려 하는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차별은 이런 메커니즘에 의해 만들어진다. 혐오감이라는 강렬한 감정이 합리적 판단을 마비시켜 편견과 선입견을 재생산시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혐오를 없애자"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다. 각자 다른 삶의 기억, 문화, 인식 때문에 사람들은 저마다의 혐오감을 갖고 지낼 수밖에 없다. 때문에 혐오를 없애는 건 애초에 가능한 명제가 아니다. 혐오는 근절되어야 할 게 아니라 오히려 수용되어야 한다. 혐오를 직시하고 불편함을 감내하는 것이다.
차이를 인정하라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나오는 거다. 이 말은 차이를 없애라는 게 아니다. 각자의 차이를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차이를 받아들이라는 건 생각보다 힘든 일이다. '나'와는 다르고 어색하고 불편한 걸 그대로 긍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눈살이 찌푸려지는 대상을 (존중까지는 아니더라도) 있는 그대로 내버려둘 수 있는 마음가짐이 필요한 것이다. 혐오감이 든다고 그것을 없애거나 못하게 하는 게 아니라 두 눈 질끈 감고 고개를 돌려버리는 것, 쿨함은 이런 태도에서 나오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