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필드 일병은 살아남았다. 군모에 총을 맞아 나자빠지고, 빗발치는 총알 속을 뛰어다니고, 폭포에 추락하면서도 마침내 살아남았다. 그리고 살아남음으로써 영화의 이야기를 완성시켰다. 그런데 훈장도 와인이랑 바꿔 먹으면 그만이었던 그를 프랑스 여인의 호의도 물리치고 지옥불로 뛰어들 게 만든 건 투철한 군인정신, 임무를 완수해야 하는 사명감 같은 게 아니었다. 그를 변하게 만든 건 죽음이었다.
2개 대대 병력을 살리는 건 분명 중요한 임무였다. 하지만 반드시 내가 해야 할 필요가 없는 일이기도 했다. 그래서 그는 블레이크를 원망했다. 많은 동료 중에 왜 하필 자기를 데려왔냐고. 하지만 블레이크의 죽음은 그에게 그것의 무게만큼이나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다주었다. 블레이크의 형을 살리고 어머니에게 편지를 쓰는 건 이제 그가 아니면 지키지 못할 약속이 되었기 때문이다.
블레이크가 임무에 차출되었던 건 그에게 친형이 있었기 때문이다. 함정에 빠져 있는 대대를 구하는 것이 곧 자신의 형을 구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블레이크는 임무의 적임자였다. (부상 당한 파일럿에게 칼을 맞을 정도로) 평범한 군인에 불과했지만 블레이크는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영예로운 훈장, 임무에 대한 책임감, 조국의 승리 같은 대의적인 가치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사람을 움직이는 건 사사로운 동기일 뿐이다. 멀리서(일반적인 전쟁영화의 카메라 앵글에서) 보면 임무를 위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한명 한명의 병사들은 저마다의 사연을 갖고 매 순간을 임하는 것뿐이다.
웅장하거나 다이나믹한 앵글이 사라지고 오롯이 한 인물의 시점만이 카메라에 담겼을 때, 다른 영화에서는 발견하기 힘들었던 참혹한 세계가 드러난다. 사람과 동물의 사체, 그것을 뜯어먹는 쥐들, 먼지처럼 쌓인 탄피 등등. 멋있게 적군을 해치우는 영웅은 없다. 현실에서는 상처 없이 철조망 하나 통과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블레이크가 숨을 거두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나타난 건 의무병들이었다. 포기하지 않았다면, 지혈만이라도 하고 있었다면 그는 살 수도 있었다. 하지만 한 개인이 체감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외딴 들판에 아군의 의무병이 나타나기를 기대할 수는 없었을 터. 전체로 볼 때는 시간의 흐름도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지만, 개인에게는 시간이란 것도 허망한 순간의 연속일 뿐이다.
이 작품은 단지 기술적인 성과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가 곧 메시지라는 말처럼 영화의 촬영기법은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 자체였다. 전쟁은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을 만큼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재였다. 흥미로운 서사, 웅장한 스케일, 거룩한 애국심 같은 클리셰는 때로 전쟁을 아름답게 비추기도 한다. 하지만 이 영화처럼 철저하게 개인의 눈으로 전쟁을 보여준 작품은 없었다. 카메라 그리고 우리가 1917년 한 병사의 시간으로 돌아갔을 때 전쟁이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 앞에 등장한다. 찰리 채플린의 말대로 인생이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비극인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