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서 주인공 두 여성의 목소리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여성의 목소리는 의미 없는 소리, 즉 소음에 불과하다. 델마의 남편 데릴은 여행 얘기를 꺼내려는 그녀에게 "아침부터 당신이 소리치는 걸 들어야겠어!"라며 짜증을 낸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말처럼 여성의 목소리는 철저히 묵살될 뿐이다. 심지어 정색을 하거나 울면서 호소해도 돌아오는 건 남성들의 협박과 조롱이 전부다.
하지만 총이 등장하면서 관계는 전복된다. 델마의 호소에도 강간 시도를 멈추지 않았던 남자는 이마에 총구가 겨누어지자 비로소 행동을 멈춘다. 여성은 총 같은 비대칭 무기(?)를 들어야만 화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는 것이다. 총 없이 말로만 이야기하는 건 소리 없는 아우성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한 같은 약소국은 비대칭 전력(핵무기) 개발에 집착한다.
아이러니한 건 주인공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관철하기 위해 총을 사용하지만 그것을 사용하면 할수록 자신은 범죄자가 된다는 사실이다. 사회란 질서라는 명목하에 기득권을 유지하고 수직관계를 재생산하고, 그 사회에서는 총기 사용 같은 폭력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같은 출발선상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기울어진 운동장에 놓여있는 것이고, 총을 들이대는 것처럼 반칙을 하지 않으면 절대 그 기울기를 극복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성은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기울어진 운동장임에도 불구하고 있는 힘껏 뛰든지 아니면 그 운동장에서 아예 나와버리든지(운동장의 바깥이란 결국 세상이 끝나는 지점이지만). 다시 말해, 남편에게 여행 간다는 말조차 하지 못하는 아내로서의 삶을 살거나 온전히 내 목소리를 갖고 깨어있는 자신을 느끼는 자유의 삶을 살거나,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주인공들은 후자를 택한다. 기존 사회로의 편입을 거부한 것이다. 이들의 선택은 일탈이 아니다. 일탈이란 말도 결국 기존 사회의 용어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선택은 일탈이 아니라 자유나 해방에 가깝다. 법과 질서의 억압적인 상징계를 거부하고 세상 밖의 세계, 그러니까 세상에는 없는 무(vacant)의 공간으로 떠나버린 것이고, 그렇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완벽한 휴가(vacation)를 완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