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이 사회는 다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예를 들어 단일민족이라는 신화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하고, 인종차별에도 둔감하다. 조지 플로이드 같은 사건을 보며 고개를 저으면서도 동남아인이나 중국인에게는 원색적인 차별을 서슴지 않는다.

원인은 여러 가지다. 문호 개방에 소극적이었던 시간이 길었던 반면 권위주의적 지배 체제는 오랜 시간 유지되기도 했고, 무엇보다 분단의 경험도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조금이라도 튀는 언행을 보이면 빨갱이나 반동분자로 몰렸다. 같음과 다름은 이곳에서 목숨이 걸린 문제였다.

물론 그로부터 많은 시간이 흘렀고 세상은 분명 변했다. 이제는 개인보다 집단을 우선시하면 꼰대 소리를 듣는 시대다. 하지만 같음에 대한 집착만은 여전하다. 권위주의나 집단주의는 옅어졌지만 한병철의 지적대로 SNS 등에 의한 과잉소통, 과잉정보가 자발적으로 같음을 추구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요즘 사람들이 그리는 행복이나 성공의 이미지는 전부 비슷하다. 오마카세 음식 사진이나 호텔방 셀카가 행복을 표상하는 이미지가 되었고, 좋은 대학을 나와 대기업에 취업해서 좋은 아파트에 사는 것이 성공한 삶의 기준처럼 되어버렸다.

사람들은 그런 이미지와 최대한 비슷해지기 위해 소비를 하고 공부하고 취업에 매진한다. 이렇게 비슷비슷한 소비 취향 또는 삶의 경로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들은 비주류로 소외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 하나 강요하지 않았음에도 스스로를 혹사시킨다.

겉으로 봤을 땐 개인주의가 강화된 것 같지만 되레 삶의 기준은 획일화되고 있는 것이다. 겉으로만 쪼개졌을 뿐 각각의 알멩이들은 사실 따분할 정도로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일반적인 믿음과는 다르게 개인주의가 다양성이나 개성을 담보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과거 사회와 비교해 봤을 때 기존의 억압이나 규율에서 벗어난 건 맞지만 그럼으로써 우리가 진정 자유로워졌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는 쉽게 답할 수 없는 것도 그 때문이다. 다름을 그 자체로 수용하지 못하고 우열이나 선악의 잣대로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획일성의 지옥에 가두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경직된 세상에서 다름은 곧 고통이다. '타인은 지옥이다'라는 말처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