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한 명이 있다고 하자. 화가가 그림을 그리려면 색을 선택해서 채색해야 한다. 물론 어떤 색을 어떻게 조합할지는 전적으로 화가의 재량에 달려있다. 제3자가 나서서 어떤 색을 골라야할지 대신 선택해 줄 수는 없는 일이다. 설령 화가가 고른 색의 조합이 실망스럽더라도 그건 그림이 완성된 후 결과물로 평가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화가의 채색 과정에 참견할 것이라면, 아예 화가란 존재를 없애는 게 더 나을 것이다. 각자 좋아하는 색을 들고 채색을 하면 될 테니까.
축구도 마찬가지다. 선수를 뽑는데 있어 '공정성'이나 '객관성'을 최우선으로 따지려거든, 아예 감독이란 존재를 없애는 게 낫지 않을까. mvp 선정처럼 축구 전문가 백 명 모아놓고 포지션별 투표순위로 대표팀 구성하면 될 것 아닌가. 그럴 수 없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돈을 받고 선수를 기용하는 비리를 저지르지 않는 이상 선수 선발과 운영에 관한 권한은 전적으로 감독에게 있다. 그래야만 자기만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가처럼 본인이 생각하는 팀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 팀의 성패는 경기 결과로 따지면 된다. 성과가 있으면 그 팀은 계속 그 감독의 체제로 가는 것이고, 결과가 나쁘다면 다시 새로운 감독이 선임되고. 이게 축구다.
축구에서 감독과 선수의 관계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연과 파벌 운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감독이 특정 선수를 편애하는 건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다. 자신만의 기준과 관점으로 선수를 판단하고 팀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히딩크는 박지성을 편애했고, 아드보카트는 이호를 편애했고, 최강희는 이동국을 편애했다. 그런데 이들의 '편애'가 언론의 뭇매를 맞을만큼 그렇게 염치없고 비상식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왜 홍명보와 박주영에게만 다른 잣대가 주어지는 걸까. 같은 고려대 출신이라서? 감독과 선수의 관계는 무슨 문생과 좌주의 관계 같은 게 아니다. 동문 지간이라 뽑아주는 게 아니란 말이다. 앞뒤 맥락 모두 생략하고 같은 대학 출신이기 때문에 선발했다고 말하는 건 좀 심한 비약이다. 소속팀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런던 올림픽에서 박주영 카드는 한 차례 적중했었고(당시 박주영의 상황도 지금과 다를 바 없었다) 유일한 대체재라 할 수 있는 이근호와 김신욱마저 남미 전훈에서 박살난 판국에 박주영의 재발탁이 그렇게 비논리적인 걸까.
박주영을 고대 라인이라서 뽑았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과연 축구협회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축구협회에 고대 라인 같은 실상은 없다. 축구협회 임원 중 고대 출신이 몇 명인지 구글링이라도 좀 해보고 난 후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진정 축구협회 내 파벌을 문제삼고 싶었다면 정몽준이나 정몽규 같은 현대家쪽 이야기를 했어야 하는 건 아닌가. 아니면 축구계 전체로 시야를 옮겨 친축협(허정무, 황보관..)과 비주류(조광래, 차범근 등..)의 갈등을 이야기하던가.
그냥 박주영이 싫다고 솔직하게 말했으면 좋겠다. 편법적인 절차로 병역 문제 해결했던 게 괘씸하고, 명문팀에서 비웃음의 대상이 된 것도 꼴 보기 싫었다고. 실체도 없는 연줄과 연고주의 들먹거리면서 홍명보까지 싸잡아 비난하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박주영에 대한 이런 반감을 가진 이들이다. 선수에 대한 반감이 최근 대두된 파벌과 연줄에 대한 경각심과 맞물러져 새로운 희생양을 만든 것이다.
지금은 쇼트트랙 파벌이나 김연아 은메달 같은 사건들로 감정이 과잉된 상태다. 그러다보니 평소에는 축구에 대해 별 관심을 갖지 않았던 이들마저 '파벌'이란 말만 듣고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라는 미디어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일까. 대상에 대한 신중한 통찰 없이 특정한 시각만 반복해내는 행태가 심해지고 있는 건 아닌지. 판단의 오류는 대상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무엇을 비판하고자 한다면 일단 그 대상의 본질부터 이해하려는 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