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를 쓰는 것과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다르다. 편지는 쓰는 건 무거운 행위다. 편지를 쓸 땐 하고 싶은 말을 머릿속으로 정리해서 종이에 옮긴다. 한번 종이에 적힌 텍스트는 맘대로 지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최소한 문장 단위로 머릿속에서 말을 완성시키고 그것을 종이에 적는 것이다. 한 단어, 한 문장을 적을 때마다 다음엔 어떤 표현을 담을지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이렇게 편지를 쓰다보면 처음 펜을 잡았을 때 마음먹었던 것과는 다른 내용을 쓰게 되기도 한다. 생각이나 감정이 정리되기도 하고, 어떤 의미가 더해지기도 하고, 뭔가가 생략되기도 하고.

반대로,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건 가벼운 행위다. 문자메시지는 실시간으로 송수신된다. 텍스트를 만드는 것도 손쉽다. 손끝으로 터치 몇 번만 하면 된다. 그만큼 생각을 정리하거나 의미를 미리 만들어보는 과정은 필요 없다. 단지 순간순간 떠오르는 말을 바로 전송하는 것뿐이다.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감정이나 생각을 여과 없이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화가 나면 화가 나는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예를 들어 셀럽들이 물의를 일으키고 온라인상에 사과문을 올릴 때, 종이에 직접 수기로 적은 사과문을 캡처해서 올리는 경우가 많다. 웹상의 텍스트보다는 종이에 손으로 직접 쓴 글이 더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문자메시지로 사과하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 대면과 비대면 차원의 문제는 아니다. 편지로도 어느 정도의 진중한 마음은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자메시지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든다. 진지하게 고민하고 숙고하는 어떤 무게감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클릭이나 터치를 통해 투표를 하는 것도 이런 무게감이 결여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투표용지를 액정화면의 버튼 이미지가 대신한다는 건 단지 직접 투표소에 가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게 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정치적 선택이라는 난해하고 복잡한 문제가 한순간의 터치만으로 결정된다는 걸 의미하기도 한다. 진지하게 고민하고 숙고해야 할 시간들이 즉각적이고 즉흥적인 찰나의 순간으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거리를 걷다가 스마트폰으로 투표를 할 수도 있고, 집에서 요리를 하다가 잠깐 컴퓨터 버튼을 눌러 투표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투표소에 가서 종이투표지에 도장일 찍는 건 꽤 번거로운 일이다. 생각보다 많은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우선 투표를 하러 가기로 마음을 먹으면 집으로 배송된 후보자들의 공보라도 한 번 더 살펴보게 된다. 그리고 투표소로 가는 길에는 누구를 찍을까 고민도 해보고, 투표소에 도착하면 마찬가지로 투표를 하러 온 다른 이들을 보며 어떤 생각에 사로잡히기도 하고, 투표용지에 기표를 하기 직전 아주 잠깐 망설이기도 해보고, 투표소를 나오며 뭔지 모를 뿌듯한 감정을 맛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저마다 뭔가를 느끼고 돌아간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투표를 하는 건 이미지 버튼을 누르는 순간 모든 게 끝이 난다. 선거라는 게 마치 온라인으로 상품을 고르는 인터넷 쇼핑과 다를 게 없어지는 것이다. 때로는 형식이 내용을 규정하기도 한다. 맥루한이 ‘미디어는 메시지’라고 말했던 것처럼. 투표를 온라인으로 할 것이냐 혹은 오프라인으로 할 것이냐는 어떤 수단을 택할 것인가 하는 단순한 방법론적 고민이 아니다. 그건 선거, 더 나아가서는 정치라는 개념의 본질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기술진보는 우리 삶 전반을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어 왔지만, 그 빨라진 속도 만큼 우리에겐 잃어가고 있는 시간과 가치들이 있다. 모든 게 그렇지만 얻는 게 있으면 그만큼 잃는 게 있는 법, 그것이 세상의 이치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