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긴 과업(?)을 시작한 건 처음이다. 회사에서 하는 일도 길어야 몇 개월이면 한 사이클이 끝나고, 수험생활도 몇 년 정도 걸렸을 뿐이고, 그나마 길다고 할 수 있는 대입 입시도 최대로 잡아 초중고 도합 12년 정도 걸렸다. 물론 12년이란 기간은 짧다고 할 수 없지만, 갓난아기를 인간으로 만드는 과정에 비하면 그렇게 긴 시간이 아닐 수도 있다. 기대수명이 대략 80세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내가 아이를 어떻게 키우는지에 따라 한 세기에 달하는 아이의 일생이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책에서나 봤던 시간 단위, 심지어는 내가 죽은 뒤에도 긴 시간 지속될 뭔가를 나는 막 시작한 셈이다. 물론 사람은 성장할수록 부모의 그늘로부터 벗어나기 마련이다. 내가 그랬듯 내 아이도 언젠가는 성인이 되고 언젠가는 독립을 하고 언젠가는 결혼을 해서 새로운 가정을 꾸려갈 것이다. 하지만 인생 초반의 경험과 기억들이 그의 가치관, 성격, 취향 등 나머지 인생에 있을 거의 모든 것을 결정짓는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이런 생각을 하면 내가 무슨 일을 시작한 건지 실감이 나지 않을 정도다. 마치 재난영화의 한 장면에서 땅이 꺼지고 해일이 몰려오는데도 정신 차리지 못하고 멘붕이 와서 멈춰 있는 사람처럼, 앞으로 닥쳐올 일들이 얼마나 큰일인지도 모르고 그저 멍하니 있는 것 같다. 어떻게 해야 이 아이를 부족함이 없이 제대로 키울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가도, 좀만 더 생각을 해보면 나부터가 부족한 점이 많은 사람인데 이런 내가 부족함 없이 아이를 키운다는 게 과연 가능한 일인가 싶은 회의가 몰려오기도 한다.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방법을 가르쳐주는 사람은 없다. 십수 년 교육을 받았지만 그 비슷한 것도 배운 적이 없다. 내가 어렸을 적 부모님을 보고 배웠던 것들이나 책, 인터넷 등 누군가의 간접경험을 통해 좋은 아빠라는 막연한 이미지들을 그려볼 뿐이다. 때로는 선택의 문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를 엄격하게 키우느냐 혹은 자유분방하게 키우느냐 하는 고민처럼, 정답 없는 답을 계속 탐색해 나가야 하는 거다.

애가 애를 키운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아이가 생기기 전까진 어른이 아이를 키우는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 아직 나조차도 혼란스러운 게 많고 모르는 게 많은데 그런 내 앞에 문득 제 배고픔 하나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가 나타난 것이다. 이제는 편의점에서 술을 사도 누구 하나 미성년자로 의심을 하지 않는다는 점 외에는 내가 어른이 됐다고 자각한 적이 없었는데, 어느 순간 정신차려보니 난 아빠가 되어버린 거다.

어떤 부모든 마찬가지일 것이다. 스스로를 완벽하게 준비된 부모라고 여기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어른이라고 해서 늘 확신에 차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아닌 척하지만 스스로의 불완전함, 혼란, 불안 같은 문제 해결을 아이 때문에 일단 유예하는 것뿐이다. 아이 앞에서는 어른이 되어야 한다.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되기 때문이다.

삶의 다음 스텝을 밟는 거의 모든 일이 그런 것 같다. 대학생활도 회사생활도 결혼생활도 처음엔 실감나지 않은 상태로 시작했던 것처럼 아이를 키우는 것도 그렇게 시작하는 것 같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과는 분명 다른 차원의 일이긴 하다. 그만큼 부담스럽고 버겁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할지 얼마나 힘든 구간을 얼마나 자주 지나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다.

하지만 미리 걱정한다고 달라질 것도 없다. (물론 외부에선 보이지 않는 각자의 고충과 고민이 있겠지만, 그만큼 쉽지는 않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해내는 일이기도 하다. 준비가 되었는지 의심하기보다 아이와 함께 큰다고 생각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다음 스텝을 밟는 모든 일이 그렇듯 일단 해봐야 한다. 당장 확신이 없다면 어른인 척이라도 해서. 그러다 보면 아빠로서의 역할이 그나마 편해지는 순간이 올 수도 있을 것 같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