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진보의 과정이란 건 계량화, 수치화된 영역이 확대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아닐까.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세밀하게 수치화되지 않은 걸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심지어 내가 얼마나 매력있는 이성인지도 결혼정보회사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면 금방 점수화되는 세상이니까. 하긴 디지털의 세계가 0과 1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돌이켜보면 그리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매트릭스' 속 사람들이 초록색 숫자들의 세계에 사는 것처럼 말이다. 수치화라는 건 대상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용이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그리고 분석이나 비교가 용이해진다는 건, 결국 예측의 정확성을 높여준다는 말일 것이다. 예측 가능한 영역이 넓어지고 예상이 가능한 사회가 되는 것이다. 시간을 쪼개어 계량화한 시계의 발명을 근대성의 발로로 보는 식자들처럼, 예측 가능성이란 건 현 사회의 가장 중요한 원리 중 하나다. 그에 대한 이야기는 접어두고, 어쨌든 계량화 덕분에 지금의 세상은 뭐든 쉽게 예측이 가능한 사회가 됐다.
그런데 결말을 알고 보는 영화처럼 예측이 가능한 건 재미를 주지 못한다. 사람들은 앞으로의 상황이 명확하지 않고 불확실할 때 궁금증이 유발되고 기대나 두려움을 갖기 때문이다. 인간의 뇌도 그렇다. 뇌의 감정시스템은 불확실한 상태에서 쾌감물질을 방출시킨다고 한다.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세계에서 잘 살아가기 위해 그렇게 진화된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스포츠를 본다. 일상에서는 느끼기 힘든 불확실성의 쾌감과 재미를 위해. 현대의 일상에서는 거의 모든 것들이 예상 범위 내에 있지만 실시간으로 중계되는 스포츠는 어떤 일이 어떻게 일어날지 알 수가 없다.
스포츠의 영역에 계량화된 분석이 도입되지 않은 건 아니다. 야투성공율, 평균득점, 서브리시브율, 수비율, 출루율.. 우리가 즐겨보는 상당수의 종목은 이미 숫자들에 잠식당한지 오래다. 메이저리그에서 폴 디포데스타의 머니볼 이론이 성공을 거두었다는 건 야구에서 최소한의 직감, 주관적 판단, 심지어는 스타플레이어까지도 통계학적인 숫자 앞에서는 온전할 수 없다는 걸 의미한다(물론 야구는 축구와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다만 많은 종목에서는 이런 숫자의 잠식이 상당 수준 진행된 데 반해, 축구에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물론 축구라고 통계학적 분석에서 자유로웠던 건 아니었다. 그동안 적지 않은 이들이 축구에 물리적 데이터를 도입하려 했고 그 통계로 유효한 분석을 시도했다. 벵거, 코몰리, 앨러다이스 등. 특히 앨러다이스가 상대 수비수마다 어느 방향으로 볼을 걷어내는지 통계를 내고 그 위치에 선수를 배치시켜 세컨 볼에 대한 점유를 높였다는 사실은 놀랄만 하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런 시도가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복시킬 정도로 획기적인 성과를 낸 건 아니다. 앨러다이스의 실험은 여전히 세트피스에 국한되어 있고, 그토록 센세이셔널했던 벵거는 어느새 10년 무관을 눈앞에 두고 있는 처지다. 코몰리 또한 앤디 캐롤이라는 희대의 오버딜을 남긴 채 물러난 걸 보면 그 통계라는 게 신통치만은 않아보인다.
그래서 축구는 재밌는 것 같다. 훗날엔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현재로서는 통계로부터 가장 자유로운 스포츠, 다시 말해 불확실성이 가장 높은 스포츠라고 할 수 있을테니까. 무려 22명이, 팔만 쓰지 않으면 되는 비교적 간단한 규칙으로(바꾸어 말하면 어깨 이하를 제외한 신체의 전 부위를 쓸 수 있는 자유분방함으로), 거의 두 시간 내내 넓은 그라운드를 휘젓고 다니다보니 고려해야 할 변수가 셀 수 없이 많다. 따라서 개별화하고 수치화하여 분석한들,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내기가 여간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위치선정 같은 건 통계학적인 논리로는 설명해내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다. 위치선정은 매순간 선수의 직관적인 감각으로 공의 예상 위치를 미리 판단하는 것이다. 때문에 우연에 의한 건 아닐까 싶다가도, 특정 선수들(예를 들어 인자기나 라울, 말디니 같은)을 보면 위치선정도 실력 중 하나라는 걸 부인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미 축구게임 같은 데서는 이런 위치선정이 선수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스탯으로 통용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게임상에서나 가능한 일일뿐, 실제 선수의 위치선정 능력을 수치화하여 비교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축구가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에 의한 흥미진진함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이렇게 축구를 수치화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이들의 시도를 지켜보는 것 또한 쏠쏠한 재미가 될 것 같다. 그 과정이 녹록치 않더라도 어쨌든 팬들의 입장과는 달리 현장에서 팀을 운영하고 자금을 투자하는 이들에겐 불확실성을 제어하는 게 급선무일테니까. 더구나 축구는 여타 사회과학에 비하면 단순하다. 정해진 룰이 있고 정해진 목표가 있다. 아마 축구의 위치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사이 정도에 있지 않을까. 어쨌든 축구를 유의미한 통계적인 분석 아래에 두려는 시도는 계속될 것이고, 불확실성과 분석가들의 싸움도 더욱 흥미진진해질 것은 분명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