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먼드 카버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작가다. 반면 김애란은 국내에서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나는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집보다 김애란의 단편집을 좋아한다. 김애란의 단편집에 적힌 거의 모든 언어들에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작가가 그려내는 배경 분위기나 인물의 어조 같은 것들을 내 머릿속에서도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게 가능한 건 작가도 그렇고 나도 그렇고 같은 땅에서 태어나 같은 언어를 쓰며 살아왔기 때문이다.

문학은 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많은 것을 잃는다. 작가가 쓴 언어와 다른 언어로 작품을 읽어야 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는 나와 다른 언어권, 문화권에 살고 있는 작가의 이야기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내가 레이먼드 카버의 작품보다 김애란의 작품을 더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작가와 다른 언어권,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정서, 배경을 오롯이 이해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서로 다른 언어로 만들어진 문학작품을 일률적으로 줄 세운다는 건 사실 불가능한 일일 수밖에 없다. 자신들이 만든 '보편성'이라는 잣대에 모든 문화권을 맞추려고 하는 서구 비평가들의 자만일 뿐이다.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았다고 한들, 내가 그 작품을 읽는 것과 영국인이 번역본을 읽는 것은 다를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국내 작가 중 누군가가 노벨문학상을 받는다 한들, 그의 글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 건 같은 땅에서 같은 언어를 쓰는 국내 독자들뿐이다.

최근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를 봤다. 북미에서는 상당한 인기를 끌었지만, 국내에서는 반응이 미적지근한 영화다. 60년대 후반 할리우드를 오마쥬하는 영화이다 보니 국내에서는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타란티노가 만들고 브래드 피트, 디카프리오가 열연한다 한들, 작품의 콘텍스트를 제대로 읽지 못하면 재미는 반감되기 마련이다. 마찬가지다.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던 '엑시트'란 영화가 북미에서 상영된다고 한들, 북미 관객들이 그 작품이 갖고 있는 한국적 정서들을 제대로 읽을 수는 없다. 실내 가든 파티, 보습학원, 고깃집 환풍기, 헬스장, PC방, 해병대 등은 해외에서 이해하기 힘든 소재들이기 때문이다.

자존감이 없는 사람일수록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해 애쓴다. 스스로에게는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타인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만 열등감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세계 최고'라는 타이틀 혹은 노벨상, 올림픽 금메달 같은 것에 집착하는 것도 서구에 대해 갖고 있는 일종의 열등의식에 기인하고 있다.

더구나 문학은 일률적으로 성적을 매길 수 없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언제쯤 국내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탈 수 있을지 궁금해한다. 하지만 노벨문학상 수상은 조금도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 오히려 문학을 잘 모르고 잘 즐기지 않는 사람들이 집착하는 이슈일 뿐이다. 노벨문학상을 누가 수상하든, 국내 문단에는 재능 있는 작가들이 계속해서 좋은 작품을 내고 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서점에 가서 그 작품들을 구입하고 읽고 즐기는 것뿐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