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등장하고 온라인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노사모, 박사모 같은 정치인 팬덤이 형성되었다. 연예인의 팬들이 팬카페라는 집단을 형성해서 팬덤문화를 소비하듯이 정치인의 지지자들도 그룹화되어 상상의 정체성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일종의 새로운 공적 참여로 인식되었다. 투표로만 권리를 행사했던 수동적 유권자들이 이제는 누구의 지지자임을 당당히 밝히고 주체적으로 세력을 형성함으로써 정치를 엘리트들의 전유물로 인식하던 기존의 관념을 타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온라인상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지면서 일상적으로도 누구나 공적인 참여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출근길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다가 댓글을 다는 것만으로도 여론을 형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공적인 참여가 일반화되면서 정치 팬덤문화는 선구자적 지위를 잃었고 순기능적인 역할보다는 비판의식을 마비시키고 정치적 무관심을 가속화시킨다는 점에서 오히려 하나의 병리적인 현상에 가까워지고 있다.

정치라는 건 가치 판단을 통해 한정된 자원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이다. 정치가 어려운 건 각자의 가치 판단이 다르기 때문이다. 누구나 각자의 입장과 가치관과 인생사를 갖고 있다. 따라서 모든 세상사에 대해 동일한 가치 판단을 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며, 한 사람의 가치 판단이 다른 모든 이를 만족시킬 수도 없는 법이다. 한정된 자원을 배분하는 건 한쪽이 이익을 얻으면 반드시 다른 한쪽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또 아무리 훌륭한 정치인이라 하더라도 플라톤의 철인 같은 존재가 아닌 이상 공과 실은 함께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특정 정치인을 덮어놓고 지지하는 것은 민주적인 지지가 아니라 맹목적인 우상화에 가깝다.

건전한 정치에 있어 비판과 견제는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며, 만약 이것이 결여된다면 토론이 실종된 진영논리에만 함몰되기 마련이다. 외부를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집단적 나르시시즘에 빠지는 것이다. 십자가를 짊어진 예수에 비유하면서 박근혜를 신격화하는 태극기부대는 그 전형적인 예이고, 수준 차이만 있을 뿐 대깨문이나 문빠라 불리는 이들도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 정치 팬덤문화는 정치인에게 연예인의 역할을 기대하게 만든다는 부작용을 갖고 있다. 연예인은 대중에게 행복과 감동을 주는 존재이지만, 정치인은 그들처럼 행복과 감동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실망과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다. 시민들이 정치인에게 요구하는 건 순결무구한 봉사정신이지만, 정치인에게 정치라는 건 권력욕이라는 개인적 동기를 원동력으로 하는 집권투쟁의 장에 가깝다. 현실 정치가 사회적 요구로부터 이반되는 건 이 때문이다. 두 목적 가치가 합치되기보다는 상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정치는 시민에게 기대보다 실망을 안길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정치인에게 연예인처럼 긍정적인 피드백만을 바라는 건 정치의 본질을 간과하는 것이고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혐오만 양산해낼 뿐이다.

백화점에서 삐까번쩍한 신상을 고를 때와 중고마켓에서 그나마 괜찮은 중고품을 고를 때의 마음가짐은 다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정치인을 팬덤으로 소비하려는 건 중고마켓에서 신상을 찾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신상을 기대하는 눈으로 중고품을 둘러보다보면 마음에 드는 물건이 없기 마련이다. 정치 무관심은 여기서 비롯된다. 실망하고 실망하면서 아예 고개를 돌려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모든 시민은 중고품 중 반드시 하나를 골라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다. 그들이 무관심할수록 골라야 하는 중고품 상태는 최악의 품질로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