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건 관음증과 깊은 관련이 있다. 관음증은 보이지 않는 곳(어두운 객석)에서 보이는 곳(환한 스크린)을 지켜보는 행위다. 관객이 어두운 객석에 앉아 스크린을 보는 건 돈을 지불하고 합법적으로 관음증적인 시선을 즐기는 것이다. 관객은 이 시선을 통해서 지금 보고 있는 게 스크린이 아니라 마치 실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의 어떤 장면을 보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몰입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공포영화를 보며 갑자기 튀어나오는 귀신에 놀라게 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사실 귀신이라는 건 스크린 속 화상에 불과하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쫓기고 있는 주인공의 시선에 몰입하다보니 실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을 보는 것처럼 관객 또한 주인공 못지않게 놀라게 되는 것이다.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시점은 조금씩 달라지겠지만, 잘 만들고 재밌는 영화일수록 관객은 더 몰입하고 빠져들기 마련이다.

관음증이라는 건 몰래 보는 것이다. 관찰자의 시선이 감춰졌기 때문에 대상자는 누군가 자신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상태여야 한다. 영화도 마찬가지다. 배우는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다. 그냥 현실에서처럼 행동할 뿐이다. 물론 실제 촬영장에는 카메라가 있지만 이 카메라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배제할 뿐이다. 반면 무대에서는 관객들을 바라보고 노래를 부르고 연기를 한다. 일부러 보여지는 것이다. 말 그대로 show와 같다.

그런데 영화 속에서 주인공이 갑자기 뮤지컬 가수처럼 노래를 부르고 스크린이 사건 속의 장면이 아닌 무대로 바뀌는 순간 영화에 대한 몰입은 깨지고 만다. 관음증적인 시선이 해체되고 영화 속 현실은 무대에서 보여지는 쇼로 바뀐다. 혼자 있는 것처럼 행동하던 주인공이 갑자기 나와 시선을 맞추고 보란 듯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다가는 또 갑자기 음악이 사라지고 혼자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이런 모드 전환이 반복되다보면 지금 보는 게 현실의 장면도 아니고 그렇다고 눈앞의 무대도 아니고 그냥 이도 저도 아닌 느낌만 가득할 뿐이다. 내가 뮤지컬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아무리 하이브리드, 퓨전, 융합의 시대라고 해도 영화와 뮤지컬의 짬뽕은 내 취향이 아닌 것 같다.